통계 실험실 차트
넘스탯 로고

넘스탯

DATA ANALYTICS & INSIGHTS

확률에서 LLM까지 –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 교육 플랫폼

도움말

대규모 언어모델의 핵심 원리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원리, 구조, 학습 방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체계적으로 학습하세요

자연어 처리와 언어 모델의 기초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언어 모델은 문장의 확률을 계산하고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로, 현대 NLP의 핵심 기술입니다.

자연어 처리의 주요 작업
  • 토큰화(Tokenization): 문장을 단어나 문자 단위로 분할
  • 품사 태깅(POS Tagging): 각 단어의 품사(명사, 동사 등) 분류
  • 구문 분석(Parsing): 문장의 구조와 문법적 관계 파악
  • 의미 분석: 단어와 문장의 의미 이해
  • 텍스트 분류/생성: 감정 분석, 기계 번역, 요약 등
언어 모델의 발전 과정
  • 통계적 언어 모델(1980-2000년대): N-gram 모델, 단어 공기 빈도 기반
  • 신경망 언어 모델(2000년대): Word2Vec, 분산 표현 학습
  • 순환 신경망(2010년대): RNN, LSTM으로 순차적 언어 처리
  • Transformer 기반(2017년~): 병렬 처리와 장기 의존성 해결
  • 대규모 언어모델(2018년~): BERT, GPT 등 사전학습 모델
🌟 LLM 실전 활용/학습 팁
  • LLM은 데이터 품질프롬프트 설계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집니다.
  • 실제 업무/연구에 적용할 때는 출력 검증윤리적 고려가 필수입니다.
  • 최신 논문/오픈소스(예: HuggingFace, OpenAI, LLaMA 등) 동향을 꾸준히 학습하세요.
  • 실습: 직접 프롬프트를 설계해 다양한 LLM(예: ChatGPT, Claude, Google Gemini 등)에 적용해보세요.